전기기능장 74회 2일 차 2번 문제 풀이 드디어 나왔습니다!!!
우와 이건 제가 생각만 해봤던 건데
바로 버튼의 누른 횟수를 최솟값일 때 찾는 방법이었습니다.
이거는 PLC를 많이 해본 사람은 조건문으로 잘 풀 수 있고
그냥 더 쉽게 하는 사람은 명령어 몇 개로만 해서 바로 찾을 수 있습니다.
문제를 구하면서 보는데, 그분은 조건문으로 풀었더라고요.
근데 이곳은 남들과는 다르고 평범하지 않습니다.
생각만 한번 해보시고요.
직접 실행해보셔도 좋지만, 대중적인 방법 많이 쓰세요.
전기기능장에서는 그게 제일 빠르게 배우십니다.
괜히 제 것 따라 하다가 외울 거만 많아집니다.
문제 간단히 보고서 넘어갈게요.

문제가 벌써 어렵다는 게 느껴집니다.
한눈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당황스러운 겁니다.
수많은 회차를 오는데, 뭔가 달라진 유형입니다.
PLC를 많이 보는 저로서는 굉장히 마음에 드는 문제입니다.
공부가 되니까요.
대신에 수험생들에게는 어렵지만요.
전기기능장 이런 문제는 조건을 먼저 봅시다.
- SSB ON
- PBA COUNT
- PBB COUNT
- PBC COUNT
- PLA는 PBA가 최솟값이면 점등
- PLB는 PBB가 최솟값이면 점등
- PLC는 PLBC가 최솟값이면 점등
- PLD는 최솟값의 초만큼 점등
- PLE은 COUNT만큼 점등
조건을 보는데, 오히려 더 쉬운데…?
하는 순간 최솟값이라는 말이 튀어나옵니다.
워메 이거 뭐냐?
할 수 있는 거냐?
별의별 생각이 다 들 그거로 생각합니다.
조건에서 보면
PBA = PLC
PBB = PLD
PBC = PLE
의 위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해가 되나요?
그럼 PLD와 PLE만 보면 됩니다.
PLD는 그냥 카운터 횟수만큼 켜주고
PLE은 그 시간만큼 플리커 시키면 되겠네.
이런 결론이 나옵니다.
전 이 문제 보자마자 그냥 명령어가 떠올라서 조건문으로 짤 생각이 안 나더라고요.
자주 쓰는 명령어는 아니지만, 로봇에서는 자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서 가장 마지막에 들어온 것을 찾아야 하는데 알 수가 없잖아요.
그럴 때 사용하라는 말입니다.
제가 문제 해석으로 보여드릴 거는 MIN 명령어의 사용과 “이렇게도 하면 풀 수 있겠다.”
보여드리겠습니다.

전기기능장 먼저 카운트를 해야겠죠?
전 CTU를 쓰지 않아요.
CTU는 손에 익지 않고 PLC를 많이 하는 사람이라면 INC를 더 많이 활용합니다.
그냥 데이터 카운트하면 되는데, 굳이 CTU를 써서 리셋을 만들 필요는 없잖아요.
데이터만 0으로 없애면 되니까요.
그래서 INC를 쓰는 겁니다.
여기가 중요하죠!
MIN은 도대체 뭐야?
이 말을 먼저 해야 합니다.
우리의 PLC는 굉장히 친절합니다.
세 번째에 보면 명령어 도움말이라는 게 있습니다.

눌러보신 분 몇 분이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색인 항목에서 명령어를 쳐봅시다.
그러니까 MIN이라고 바로 나오죠?
이거를 보고서 명령어를 알 수 있습니다.
설명이 부족한데, 밑에 한 번 읽어봅시다.

설명이 잘되어져 있네요!
최솟값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오퍼랜드 | 설명 | 데이터 타입 |
S | MIN 연산을 시작할 데이터의 주소 | INT/DINT |
D | 연산 결과를 저장할 주소 | INT/DINT |
N | S로부터 MIN연산을 실행할 워드 개수 | WORD |
S는 시작이라고 하네요.
내가 위에서 짠 프로그램을 보니까 D0부터 시작입니다.
D는 결괏값을 받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다음으로 N은 D0 ~ 개수입니다.
내가 3개를 비교하니까 3을 입력합시다.

위의 명령어를 만들면 됩니다.
근데 생각해보니까 몇 번째 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생각을 좀만 전환해봅시다.
최솟값을 찾으면 D0 ~ D2 안에 해당하는 숫자가 있겠죠.
그 숫자와 같은 데이터를 살려주면 됩니다.
이해가 바로 되죠?
안되실까요…?

문제로 보고서 시뮬레이션해보겠습니다.

D0 = 7, D1 = 3, D2 = 2입니다.
2가 제일 작죠?
그럼 2는 D2니까 PLC가 ON 됩니다.
이 문제는 함정이 있습니다.
제가 조건을 다 본 거는 아닙니다.
밑에 프로그램을 봐주세요,

어라? 두 개가 동시에 먹을 수도 있겠다!
이 생각이 들더라고요.
조건을 잘 읽었을 때 작동이 안 되냐? 아니면 작동이 되냐? 이 조건을 잘 봤어야 합니다.
감독관이 바보가 아니고서야 적은 수를 하나로 만들어서 작동해 주겠죠?
그러나 모릅니다….
이상한 사람이 있을 수도 이거는 조건 한번 생각해서 풀어보세요.
조건문으로 짠 사람들의 경우에는 같은 수가 발생하면 결국 문제 생깁니다.
이거 하면서 아마 최댓값도 나올 거 같은데요.
이것도 다 명령어가 있습니다.
제가 알려드리는 것에 반대니까요
잘 생각해보면서 PLC 만들어보시면은 금방 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 문제도 보면서 생각해보고 돌아오겠습니다.
'전기기능장 > 회차별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능장 73회 1일차 2번 문제풀이 (0) | 2024.08.10 |
---|---|
전기기능장 73회 3일차 2번 문제풀이 2편 (0) | 2024.08.03 |
전기기능장 73회 3일차 2번 문제풀이 - 1편 (0) | 2024.08.02 |
전기기능장 PLC 72회 3일 차 2번 문제 (0) | 2022.10.06 |
전기기능장 PLC 72회 3일 차 1번 문제 (0) | 2022.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