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기능장/기초

[전기기능장] 명령어를 무엇을 써야할까? - 제 2편 -

by >ⓐⓑⓒ 2021. 4. 25.

[전기기능장] 명령어를 무엇을 써야할까? - 제 1편 -

 

[전기기능장] 명령어를 무엇을 써야할까? - 제 1편 -

전기기능장을 준비하시는 여러분, 시험은 잘 보셨는지요? 여러 가지 심리가 왔다 갔다 할 텐데, 재준비를 해야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쉬는 과정도 중요하다고 생각입니다. 이럴 때 머리를 조

cherky.tistory.com


전에 이어서 명령어를 좀 더 알아볼려고 합니다. 

어려운 명령어는 절대 사용하지 않습니다. 해당 과정은 알아보는 과정입니다.

기능장에서 사용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내 방식을 만들어봅시다. PLC는 결국 남의 것을 베끼고,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나의 것이 되게 됩니다.

무슨 말이냐? 프로그램은 도용이 아닙니다.

그러나 그 전체를 전부 사용해서 프로그램 한다면 그것은 도용이 되는것이죠.

남이 하는걸 많이 봐주고 나의 것으로 흡수해주세요!

반전을 배우게 됩니다. 이해가 잘 안되실 수 있습니다. 반전을 사용하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길게 병렬로 늘어지게 만드는 것을 한줄로 표현하는게 다입니다.

반전 앞에 부분에서 저중에 하나라도 ON이 되면 표시가 어떻게 되죠? 그 부분만 하얗게 변합니다.

이해 되시나요? 한줄로 표현하면 가독성이 좋아져서 쓰는겁니다.

잘 모르시다면 전기기능장에서 사용을 하지마시고요! 웬만하면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어느 부분인지 찾기 힘듭니다!

혹시 제가 전에 쓴 글이 있었는데, 전 SET, RST를 사용 안 합니다. 프로그램이 길어지면

사람은 SET RST를 한군데만 쓰지 않아요 SET를 2개, RST은 3개 여러 군데 짜게 됩니다. 그럼 어떤 일이 생길까요?

어느부분 문제인지 찾기 어려워지죠.. 한군데 쓰면 되잖아? 라고 하지만 그렇게 짠다면 다행이죠..

그리고 자기유지가 실수를 방지 할 수 있어요. 그래서 전 OUT을 이용해서 자기유지로 많이 한다고 보면 됩니다.

 

신호가 한번 들어오면 ON, 신호가 다시 들어오면 OFF가 됩니다. 단순한 구조로 ONE BUTTON 구조가 되어 ON?OFF가 됩니다. 나중에 사용하는데, 제가 시험본 67, 68, 69회에서는 ONE BUTTON 구조가 나오지 않아서 사용할 일은 없었습니다.

 

다음에는 DATA 전송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댓글